반응형
I. Fe-C 상태도 정의 (Fe-C Phase Diagram)
가로축을 Fe와 C의 2원 합금 조성(%)으로 하고, 세로 축을 온도로 했을 때, 각 조성의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합금의 변태점을 연결하여 만든 선도를 Fe-C 상태도 또는 Fe-C 평형 상태도라고 한다.
II. Fe-C 상태도
상태도에서의 실선들은 상태 변화를 의미하는 선이며 하기와 같이 약자를 통해 통용된다.
- A1: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상한선
- A2: 자성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는 선으로 "Curie 점"이라고도 불린다.
- A3: 오스테나이트와 오스테나이트+페라이트가 상변화를 이루는 선
- A4: 오스테나이트가 델타철로 상태 변화하는 온도
- Acm: 오스테나이트와 오스테나이트+시멘타이트가 상변화하는 선
III. 철의 변태점
철의 변태는 크게는 결정구조 변화가 없이 자성의 변화만 있는 자기 변태와 결정구조 변화를 일으키는 동소 변태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, Fe-C 상태도에서의 실선은 철의 변태를 나타낸다. 이를 표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.
변태점 | 변태종류 | 특징 |
A0 | 자기변태 | 시멘타이트의 자기변태로 결정구조의 변화 없음 210도 이하에서는 강자성체이나 그상에서는 상자성체로 자기의 강도가 매우 약해짐 |
A1 | 동소변태 | 강철의 공석변태를 A1 변태라고 하며, 이 변태가 생기는 온도를 A1 변태점이라한다. 약 727도 오스테나이트를 가열 후 냉각했을 때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설출하는 공석반응이 나타난다. ( γ -> α+Fe3C) |
A2 | 자기변태 | 철의 자기변태점으로 약 770도이며, 결정구조의 변화는 없다. A2 이상에서는 강자성, 이하에서는 상자성체로 "Curie Point"라고도 한다. |
A3 | 동소변태 | 페라이트( α, BCC 구조)가 오스테나이트( γ, FCC 구조)로 상변화하는 온도 순철은 912도이며, 탄소 고용율이 높을 수록 낮아지다가 0.76%에서 공석점에서 만남 |
A4 | 동소변태 | 오스테나이트( γ, FCC 구조)가 델타철( δ, BCC 구조)로 상태변화하는 온도 순철의 경우 약 1394도 탄소 고용율이 높아질수록 변태 온도가 높아지다가 포정점으로 수렴 |
Appendix)
1. 금속의 결정구조
1.1. 체심입방격자(BCC, Body Centered Cubic)
- 단위정의 원자수 : 2개
- 충진률(APF : Atomic Packing Factor)3) : 68%
- 강도, 경도가 크고, 연성, 인성이 작다.4)
- 체심입방격자구조의 대표적인 예 : 알파철(α-Fe), 델타철(δ-Fe)
- [출처] Fe-C 평형상태도(Fe-C Phase Diagram)|작성자 삼우철강
1.2 면심 입방 격자(FCC : Face-Centered Cubic)
(a) hard-sphere 단위정 (b) reduced-sphere 단위정 (c) 결정구조 속의 단위정
- 단위정의 원자수 : 4개
- 충진률 : 74%
- 강도, 경도가 작고, 연성, 인성이 크다.
- 면심입방격자구조의 대표적인 예 : 감마철(γ-Fe)
- [출처] Fe-C 평형상태도(Fe-C Phase Diagram)|작성자 삼우철강
반응형
'기계관련 > 1. 주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조 결함 중 주탕 불량(misrun) 쇳물 경계(cold shut) (0) | 2024.07.13 |
---|---|
용탕의 유동성 (Fluidity) (0) | 2024.07.08 |
저압 주조법 (0) | 2024.07.08 |
취성의 종류 (0) | 2024.07.07 |
주조 공정에서 용탕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가지 (0) | 2024.07.04 |